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우주

천문학에 대해서

by 생활정보통우기 2023. 9. 18.
반응형

천문학의 기본적인 내용

 

천문학은 천체물리학의 줄임말 입니다. 또한 천체와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에 속합니다.

일반적으로 천문학은 지구 대기권 너머에서 발생하는 우주의 모든 현상을 연구합니다.

우주론은 우주 전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에 속합니다.

 

천문학의 역사

 

천문학은 자연과학 중 가장 오래된 분야입니다.

역사 초기에 천문학은 단순히 눈에 보이는 현상들을 관찰하고 예측함으로써 이루어 졌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천문학적인 목적을 지닌 관측소들을 짓고 모아왔습니다.

이 관측소들은 의식적인 사용 또는 계절을 결정하고 작물의 심기시기와 1년의 길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였습니다.

망원경과 같은 도구들이 발명되기 전엔 그들의 눈으로 직접 보고 별들을 연구하였습니다.

 

초기문명에는 이집트인,바빌로니아인,그리스인,인디언,중국인,마야인들과 아메리카 대륙의 많은 고대원주민들의 문명이 발달하면서 관측소들을 모아 자연스레 우주자연에 대한 사고들이 발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과거에는 천체항법,관측천문학,달력제작 등 다양한 분야들이 모두 천문학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또한 과거의 천문학자들은 태양,달,별이 지구를 중심으로 도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굳게 믿었습니다.

바빌로니아인들 사이에서 시작된 수학적 과학적 천문학이 다른 모든 문명들의 천문학적 전통과 기초를 닦았습니다.

바빌로니아 인들은 월식이 주기를 가지고 반복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천문학의 분야

 

전문 천문학은 크게 관측분야와 이론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관측 천문학은 말 그대로 지구 대기권 너머에 있는 모든것들을 관측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중점을 두고있습니다.

관측 천문학의 안에는 또다른 분야들이 존재하는데요

그 분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파 천문학

    : 전파 천문학은 전파를 이용하여 지구대기권 너머에 있는 별들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적외선 천문학

    :적외선 천문학은 적색광보다 파장이 길고 우리의 시야 범위를 벗어나는 적외선 복사 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데 기반을 두       고 있습니다 .

 

광학 천문학

    :광학천문학은 역사적으로, 가시광선 천문학이라고도 불리는 천문학의 가장 오래된 분야입니다.

 

자외선 천문

    :자외선 천문학은 대략 100~3200Å(10~320nm) 사이의 자외선 파장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파장의 빛은 지구 대기에                 흡수되므로 대기 상층부나 우주에서 이러한 파장을 관측하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분야입니다

 

엑스레이 천문학

    : 엑스레이 천문학은  천체의 엑스선 관찰과 탐지 에 대한 연구를 다루는 분야입니다.

 

감마선 천문

    : 감마선 천문학은 100keV 이상의  광자에너지를 갖는 전자기 방사선  가장 강력한 형태인 감마선을 천문학적 으로 관          찰 또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분야 입니다 .
모든 관측데이터는 물리학의 기본 원리를 사용하여 분석되어집니다.

 

이론천문학은 천문학적 물체와 현상을 설명하기위해 컴퓨터 또는 분석모델의 개발을 목표로 진행됩니다.

이 두 분야는 서로를 보완하며 데이터를 수집,처리합니다.

이론 천문학은 관측 결과를 설명하려 하고,관측 천문학은 이론적인 결과를 확인하는곳에 사용됩니다.

 

천문학은 아마추어가 활동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자연과학 중 하나입니다.

아마추어들은 자신들이 직접 만든 망원경 또는 도구들을 이용하여 직접 관찰을 시도하고 기옥하여 데이터를 수집할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아마추어 들은 천문학의 과학적인 연구가 목표가 아닐지라도 자신들의 육안으로 확인한 지구 대기권 너머에서 발생하는 별들의 움직임과 모습, 우주에서 일어나는 별들의 변화하는 형태들을 영상화 또는 사진을 찍으며 취미생활을 즐깁니다

 

천문학의 학제간 연구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은 다른 주요 과학 분야와 중요한 학제간 연계를 발전시켜 왔습니다.고고학 및 인류학 증거를 활용하여 문화적 맥락에서 고대 또는 전통 천문학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우주 생물학은 지구를 제외한 행성에서 생명체들이 살 수 있는지 또는 현재 살고있는지를 연구합니다

비지구 생명체들의 가능성에 특히 중점을 두고 우주의 생물학적 시스템의 출현과 진화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들을 다뤄볼게요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에는 여러가지들이 존재합니다.

우주의 생성론 

우주 탐사 등등이 아직 많은 천문학 과학자들끼리 갑론을박이 이어지고있는 현실입니다.

우주의 빅뱅론만 해도 논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을 정도이니까요

우주 탐사에는 지구에서 우주밖으로 쏘아 올릴 수 있는 우주선을 보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인류를 먼 행성까지 보낼수 있는 자원과 기술, 우주에서 장기간 살아남아 다른 미지의 행성까지 가야 하는 문제

또 인류를 지구 밖 행성으로 보냈을때 지구로 무사히 돌아올 수있게 하는 모든 기술 및 자원들이 아직은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인류의 숙제입니다.

 

 

이 글을 마치며..

우주는 아직 인류가 찾아내지 못한 비밀들이 너무나 많은 곳입니다.

아직 인류는 2000년이 지난 지금도 태양계 조차 벗어나지 못하고있습니다

태양계 밖에는 얼마나 크고 아름다운 비밀의 행성들이 존재할지 여러분들은 알고 계신가요?

언젠간 인류가 우주로 여행을 하는 날이 온다면 다른 행성에서 좀 더 멀리 보고 관찰하며 천문학의 견해와 모든 기록들이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 되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칩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에 대해서  (0) 2023.09.28
금성에 대해서  (0) 2023.09.26
수성에 대해서  (0) 2023.09.21
화성에 대해서  (0) 2023.09.21
우주에 대해서  (0) 2023.09.19